3V3 : 보드로부터 3.3V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핀
5V : 보드로부터 5V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핀
Vin : 아두이노에 전원을 공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핀 (7~12V 제한)
GND :
보드의 접지 핀(ground)
ADC0~ADC5 : 아날로그 신호를 입, 출력할 수 있는 핀
PIN0~PIN13 : digital 신호를 입, 출력할 수 있는 핀
송수신
PD0(PIN0) : RX(Receive) TTL직렬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됨
PD1(PIN1) : TX(Transmitt) TTL직렬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됨
인터럽트
PD2(PIN2) : INT0 외부인터럽트 할당이 가능
PD3(PIN3) : INT1 외부인터럽트 할당이 가능
SPI 핀
PB2(PIN10) SS
Slave Select의 줄임말이다. 또 CS(Chip Select) 혹은 CE(Chip Enable)로도 쓰인다.
SPI는 1:n 통신을 지원하기때문에 마스터가 개별을 구분할 핀이 필요하게된다. 이때 사용하는게 SS핀이다. 통신 할 슬레이브(Slave)에게 SS핀으로 알려주게 된다. 이러한 기능때문에 SS 핀은 SPI 통신시 슬레이브 수 만큼 많아질 수도 있다.
참고로 I2C통신의 경우 칩디바이스 주소로 1:n통신을 한다.
PB3(PIN11)(MOSI)
Master Output Slave Input의 줄임말이다.
마이컴(아두이노)가 마스터(Master)일때 데이터를 내보는 핀이 된다.
PB4(PIN12)(MISO)
Master Input Slave Output의 줄임말이다.
마이컴(아두이노)가 마스터(Master)일때 데이터를 받는 핀이 된다.
PB5(PINT13)(SCK)
Serial Clock의 줄임말이다.
데이터 동기를 위한 클럭이며 마스터가 클럭을 내보내게되고 슬레이브 쪽에선 이를 받아서 동기를 맞춘다.
PIN 3, 5, 6, 9, 10, 11 (PWM) : analogWrite ()의 함수로 8 비트 PWM o/p를 제공한다.
PC4(SDA), PC5(SCL) (I2C) : Wire 라이브러리의 도움으로 TWI 통신을 지원한다
AREF(Analog Reference) : 측정 전압과 실제전압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3.3v로 설정해 줌
'arduino,avr'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mega 2560(아두이노 메가) pin map, 기본 포트설정 (0) | 2022.04.02 |
---|---|
adc (0) | 2022.02.24 |
주사위led 연습문제 (0) | 2022.02.23 |
아두이노/avr serial통신 (0) | 2022.02.22 |
아두이노 기초 : L LED점멸 (0) | 2022.02.21 |